주요정보

청년월세지원 및 신청조건 혜택 상세히

alwaystraveling 2022. 2. 16. 12:58
반응형

독립을 해서 혼자 살고 있는 청년들에게 가장 큰 부담은 아마 매달 내야 하는 월세일 것입니다.

직장 때문에 혹은 자유를 위해 매달 납부해야 하는 월세 및 각종 공과금들은 보통의 청년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부담입니다.

 

행여라도 취업을 준비 중인 경우라면 더더욱 부담감이 하늘로 솟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 같은 청년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서울을 비롯한 각 지자체에서 집이 없는 청년들에게, 즉 무주택 청년 월세 납입을 하는 청년들에게 매달 나가는 월세를 지원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무주택 청년을 위한 월세 지원제도는 나라에서 운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각 지자체에서 자체 운영을 하는 것이므로 각 지자체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겠으나 2022년부터 2년 동안 나라에서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사업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청년월세지원조건

 

청년 월세 지원사업

취업대란 속에 가뜩이나 힘이 든 청년들에게 코로나라는 변수가 생겨 더욱더 힘이 드는 현실입니다.

청년 월세 지원은 이러한 청년들의 주거부담을 덜어주도록 도입한 제도입니다. 

매달 월세 지원금은 20만 원씩 최대 기간은 12개월 간 지원을 해줍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월세 지원사업이 운영되는데 1년씩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지금 신청을 한다면 2023년까지 1년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청년들의 월세를 지원해주고 있지만 평생 동안 한 번만 신청이 가능하며 만약 월세 납입금액이 20만 원 이만 이라면 실제로 납부를 하는 월세금액만큼만 지원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매달 납부해야 하는 월세가 10만원이라고 한다면 매달 10만원씩 1년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최대 지원금액이 매월 20만원이니 1년간 총 금액은 240만원으로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신청조건

청년 월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신청 조건에 부합되어야 합니다.

 

첫번째

부모님과 떨어져 살고 있는 청년이어야 해당이 됩니다.

본인이 실제로 월세를 납부하며 사는 경우에 해당이 되며 무주택 청년이어야 합니다.

명칭처럼 월세 지원사업이기 때문에 전세로 살고 있는 청년의 경우에는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두번째

청년의 나이 제한이 있습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청년만 신청 가능합니다.

만19세 이상 34세이하로 조건이 정해져 있지만 군대를 다녀온 청년의 경우라면 최대 만39세까지도 허용이 됩니다.

 

세번째

청년의 소득이 중위소득 60%이하여야 합니다.

 

 

청년 기준중위소득
1인 가구 1,166,887
2인 가구 1,956,051
3인 가구 2,516,821
4인 가구 3,072,648
5인 가구 3,614,709
6인 가구 4,144,202

 

신청기간

청년월세 지원사업에 월세지원 신청기간은 서울특별시 및 각 지자체에서는 1분기 이내에 발표를 한다고 공지되어 있습니다.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한정된 예산으로 청년들에게 지원을 해주는것이기때문에 신청을 하려면 최대한 빨리 신청을 하는것이 유리합니다.

 

신청서류

청년월세지원사업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 주거하고 있는 곳의 임대차계약서 및 월세납부내역, 가족관계 증명서 및 소득금액 증명원 등이 필요합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청년월세지원 바로가기

 

🔻🔻🔻

 

서울주거포털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제주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바로가기

 

본인의 신청 조건을 잘 살펴본 후 청년 월세 지원을 신청한다면 앞으로 1년간은 월세를 내야 할 돈으로 적금을 할 수도 있고 월세비용으로 각자 그동안 해보지못했던것들을 할수 있을 것입니다.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혜택은 열심히 찾아서 이용하는 것이 국민의 미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바우처 신청  (0) 2022.01.06
주식계좌 미성년자  (0) 2022.01.06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대상  (0) 2022.01.05
방역패스 유효기간 확인  (0) 2022.01.05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대상  (0) 2022.01.01